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딩테스트
- 안드로이드
- 컴포즈
- MVVM
- 코틀린
- Kotlin
- git
- Python
- Android
- 디자인패턴
- 자료구조
- ViewModel
- 공격적 프로그래밍
- Jetpack
- UnitTest
- 테스트의 장점
- mock
- dagger2
- 안드로이드 디자인패턴
- Room
- 유닛테스트
- compose
- Di
- 제한함수
- 파이썬
- 단위테스트
- 안정성
- rxjava
- 깃
- Observable
- Today
- Total
세상을 바꾸는 개발자
맵(Map) 이란? 본문
Map은 Key와 Value 한쌍으로 이루어진 자료형이다.
- Map은 리스트나 배열처럼 순차적으로 해당 요소 값을 구하지 않고 Key를 통해 Value를 얻는다.
- 값(Value)은 중복될 수 있지만, **Key는 고유한 값(Unique)**을 가져야 한다.
- Map은 저장 순서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Key를 통해 Value를 얻어내기 때문에 Key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구조도
HashMap, HashTable
키와 값(key, value)이 하나의 쌍을 이루는 데이터 구조이다. 즉, 키와 배열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키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HashTable은 키를 해시함수(Hash Function)로 계산하여 그 값을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한다. 이때, 해시 함수에 의해 반환된 데이터의 고유 숫자값을 해시값 또는 해시코드라고 한다.
key 값을 해시함수를 통해서 배열의 인덱스로 바꿔주고, 그 자리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원래 데이터 값(Key) -> Hash Function -> Hash Function의 결과(Hash Code) ->
Hash Code를 배열의 index로 사용 -> 해당하는 index의 data 넣기
예를들어 이름을 키로하여 번호를 저장하는 해시테이블은 다음과 같이 만들 수 있다. 전체 데이터 양을 10이라고 하면 John의 데이터를 저장할 떄, 배열의 인덱스는 HashFunction("John") % 10 을 통해 인덱스 값을 계산한다. 여기서는 인덱스 값은 2이다.
이런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다 보면 계산된 인덱스 값이 중복될 수가 있다. 예를들어 저장하고자 하는 키가 정수이고 hash_function이 key % 10이다. 전체 사이즈가 10일때, key 1,11,21은 같은 인덱스 값을 가지게 된다. 이를 충돌(collision)이라고 한다.
장점
- 배열의 인덱스를 사용해서 검색, 삽입, 삭제가 빠름
- 키와 해시값이 연관성이 없어 보안에도 많이 사용
- 적은 리소스로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 데이터 캐싱에 많이 사용
단점
- 충돌
- 공간 복잡도가 커짐
- 순서가 있는 배열에는 어울리지 않음
- 해시 함수 의존도가 높아짐
HashMap vs HashTable
자바에서 HashTable과 HashMap의 차이는 동기화 지원 여부이다.
- HashMap-Null 값 허용
- -병렬 처리를 하지 않을 때(동기화를 고려하지 않는 상황)
- HashTable-Null 값 허용하지 않음
- -병렬 처리를 할 때(동기화 고려)
- HashMap은 보조해시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조 해시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 Hashtable에 비하여 해시 충돌(hash collision)이 덜 발생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성능상 이점이 있습니다.
- 최근까지 Hashtable은 구현에 거의 변화가 없지만, HashMap은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Hash
데이터를 다루는 기법 중 하나
Hash Function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
- 매핑전 원래 데이터의 값을 키(Key), 매핑 후 데이터의 값을 해시값(Hash Value) 또는 해시코드라고 하며, 키와 값으로 매핑되는 과정 자체를 Hashing(해싱) 이라고 한다.
Collision
- 키에 대한 해시값이 같은 경우 = 사용하고자하는 해시 버킷이 이미 사용중인 경우
- 충돌 해결을 위해
- Chaining
- 충돌이 일어날 경우 데이터들을 포인터를 이용해 서로 링크드 리스트(체인)형태로 연결하는 것
- key값을 포인터로 이어서 연결
- 최악의 경우 모든 데이터가 같은 해시값을 가져 O(n)의 복잡도를 가짐
- JDK 라이브러리에 구현된 HashMap 은 chaining 방식을 사용하며 해당 버킷의 길이에 따라 LinkedList에서 Tree로 변경될수 있다
- Open Addressing
- 모든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는 방법
- 사용하려는 해시 버킷(테이블)이 이미 사용중인 경우 다른 버킷을 사용
- 포인터를 쓰지 않아 오버헤드를 방지할 수 있고 데이터가 적을 경우 연속된 공간에 인자를 저장하기 때문에 공간 효율이 높다
- 하지만 테이블의 크기가 커질수록 장점이 사라진다
- Linear Probing
- 충돌이 발생한다면 바로 다음 인덱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다음으로 이동한 이후에도 충돌이 발생했다면 또 다시 바로 다음인덱스에 저장
- Quadratic Probing
- 충돌시 i^2 만큼씩 이동
- Chaining
TreeMap
- 이진검색트리의 형태로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저장한다.
- Map의 장점인 빠른 검색과 Tree의 장점인 정렬과 범위검색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다.
- 이진검색트리처럼, 데이터를 저장할 때 정렬하기 때문에 저장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 정렬된 상태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면, 데이터를 조회할 때 정렬해야 하는 hashMap보다는 이미 정렬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TreeMap이 빠른 조회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주로 HashMap을 사용하고, 정렬이나 범위검색이 필요한 경우에만 TreeMap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HashMap과 HashSet의 차이점
크게 아래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정의
HashMap은 Map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로, HashTable과 유사한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HashSet은 Se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로, 내부적으로 HashMap을 사용하기 때문에 HashTable과 유사한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2. 데이터 저장 형태
HashMap은 Key-Value 쌍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Key와 Value의 mapping을 유지하고 있다.
HashSet은 객체 그 자체를 저장한다.
위에서 HashMap을 내부적으로 사용한다고 했는데,
Key 값으로는 삽입되는 객체 그 자체를, Value 값으로는 HashSet 내부 구현 코드에서 미리 선언해둔 dummy 객체를 사용한다.
3. 중복 허용 여부
HashMap은 중복 Key 값을 허용하지 않지만, 중복 Value 값은 허용한다.
ex. {'a': 1, 'b': 1, 'c': 2}
HashSet은 객체 자체를 데이터로 저장하기 때문에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ex. {'a', 'b', 'c'}
4. NULL 허용 여부
HashMap은 (중복 Key 값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단 하나의 NULL 값을 Key 값으로 가질 수 있고, 여러 NULL 값을 Value 값으로 가질 수 있다.
HashSet은 단 하나의 NULL 값을 가질 수 있다.
5. 데이터 삽입 방법
HashMap은 put()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삽입하는데, Key-Value 쌍 데이터의 형태를 저장하기 때문에
삽입 연산 동안 단 하나의 객체가 생성된다.
HashSet은 add()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삽입하는데,
객체 그 자체를 저장하고 내부적으로 HashMap을 사용하기 때문에 삽입되는 **객체(Key값)**와 dummy 객체(Value 값),
총 두 개의 객체가 삽입 연산 동안 생성된다.
6. 성능
이전 글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HashMap이 HashSet보다 빠르다.
이유는 HashSet에 대해 작성한 이전 글을 참고하자.
그래서 데이터의 유일함(Uniqueness)을 유지하기 위해 항상 HashMap이 HashSet보다 선호된다.
'CS 지식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라이(Trie) 란? (0) | 2023.05.15 |
---|---|
자료구조의 주요 사용처 (0) | 2023.05.15 |
셋(Set) 이란? (0) | 2023.05.15 |
리스트(List) 란? (0) | 2023.05.15 |
배열(Array) 란?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