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유닛테스트
- 안정성
- Kotlin
- compose
- Di
- 안드로이드 디자인패턴
- 파이썬
- 안드로이드
- 디자인패턴
- 자료구조
- 제한함수
- git
- Room
- MVVM
- 테스트의 장점
- Observable
- 깃
- UnitTest
- ViewModel
- 코틀린
- Android
- Jetpack
- 단위테스트
- 컴포즈
- Python
- rxjava
- 코딩테스트
- 공격적 프로그래밍
- mock
- dagger2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공격적 프로그래밍 (1)
세상을 바꾸는 개발자

방어적 프로그래밍 모든 가능성을 올바른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예를 들어 null일때는 출력하지 않기 등) 방어적 프로그래밍은 코드가 프로덕션 환경으로 들어갔을때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것들로부터 프로그램을 방어해서 안정성을 높히는 방법을 나타내는 굉장히 포괄적인 용어 상황을 처리할 수 있는 올바른 방법이 있을때 굉장히 좋다 공격적 프로그래밍 모든 상황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등장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때, 이러한 문제를 개발자에게 알려서 수정하게 만드는 것 require, check, assert 가 공격적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도구 --> 둘은 충돌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둘다 안전을 위해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해야한다 참고 : 이펙티브 코틀린 https://ww..
안드로이드/Kotlin
2023. 7. 17. 20:13